맨위로가기

귀도 레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도 레니는 1575년 볼로냐에서 태어나 1642년 사망한 이탈리아의 바로크 시대 화가이다. 그는 볼로냐와 로마에서 활동하며, 카라치 가문에게 사사받고, 파르네세 궁전 천장화 제작에 참여했다. 대표작으로는 로마 퀴리날레 언덕의 팔라비치니-로스피리오지 궁전 천장화인 『아우로라』가 있으며, 다양한 신화적, 성경적 주제의 그림을 그렸다. 그는 생전에는 "라파엘로의 재림"으로 불렸고, 후대에는 많은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42년 사망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1642년 사망 - 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
    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는 루이 13세의 수석 장관으로서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 체제 확립을 추구하고 프랑스를 30년 전쟁에 참여시켜 국제적 위상을 높였으며, 프랑스 아카데미를 설립한 예술 후원가이자 소설 《삼총사》에서 악역으로 묘사되는 17세기 프랑스의 성직자이자 정치가이다.
  • 1575년 출생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1575년 출생 - 조소카베 모리치카
    조소카베 모리치카는 조소카베 모토치카의 아들로 형의 죽음 이후 가문의 후계자가 되었으며, 오다와라 정벌, 임진왜란,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 등에 참여했지만, 오사카 함락 후 체포되어 참수당했고 도요토미 정권으로부터 가문의 당주로 인정받지 못했음에도 강인한 성격과 활약으로 대중문화에 다양하게 묘사된다.
  • 17세기 화가 - 엘 그레코
    엘 그레코는 비잔틴 미술을 익히고 베네치아와 로마를 거쳐 스페인 톨레도에서 독창적인 화풍을 확립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이며, 매너리즘의 영향을 받아 인물을 길게 늘이고 강렬한 색채와 빛으로 종교적 감성을 표현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등이 있다.
  • 17세기 화가 - 크리스토파노 알로리
    크리스토파노 알로리는 베네치아 화풍의 색채와 피렌체 화풍의 드로잉 기법을 융합한 16세기 후기 피렌체 마니에리스모 화가로, 메디치 가문의 궁정 화가로 활동하며 자연에 대한 정확한 묘사와 섬세한 기법으로 유명해졌고, 대표작인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든 유딧"은 현대에도 재해석되며 여성의 강인함을 보여주는 예술가로 평가받는다.
귀도 레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자화상
자화상, 1602년경
출생일1575년 11월 4일
출생지볼로냐, 교황령
사망일1642년 8월 18일
사망지볼로냐
국적이탈리아
분야회화
운동바로크
발음

2. 생애

귀도 레니는 볼로냐의 음악가 집안 출신으로, 9살 때 데니스 칼배트의 화실에서 견습생 생활을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알바니와 도메니치노가 합류했다. 12살 무렵, 칼배트의 제자 3명은 안니발레 카라치를 추종하며 루도비코 카라치가 이끄는 라이벌 화실인 "인캄미나티 아카데미아"로 옮겼다. 레니는 카라치 아카데미에서 첫 제단화 의뢰를 완료했지만, 1598년 아카데미를 떠났다. 그 후 판화를 제작하기도 했다. 1575년 볼로냐에서 태어난 레니는 플랑드르 출신 화가 데니스 칼바르트에게 사사했고, 1594년 카라치 가문이 운영하는 화학교에 입문하여 루도비코 카라치에게 배웠다.

1601년로마로 가서 본격적인 화업을 시작, 1604년까지 안니발레 카라치의 공방 일원으로 파르네세 궁전 천장화 제작에 참여했다.[50] 10여 년간 로마에 머물며 파울루스 5세와 그의 조카 시피오네 보르게세의 의뢰를 받아 활동했다. 1608년부터 1609년까지 바티칸 궁전 「알도브란디니의 방」 장식을 제작했다.

thumb』]]

로마 퀴리날레 언덕에 있는 팔라비치니=로스피리오지 궁전의 천장화 『아우로라』(1612년~1614년)는 레니의 대표작이다.[51] 이 작품은 황금 마차를 탄 아폴론이 중심이며, 주제는 「아우로라(여명)에 이끌리는 아폴론의 마차」이다.

1614년 고향 볼로냐로 돌아온 레니는 자유로운 생활을 원하며, 이후 사망할 때까지 단기간의 여행을 제외하고는 볼로냐를 떠나지 않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그는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

1614년 이후 레니는 볼로냐에 정착하여 화실을 설립했다.[1] 1613년~1615년 산 도메니코 성당 성 도미니크 예배당 돔을 장식하여 프레스코화 ''영광 속의 성 도미니크''를 제작했다. 같은 교회의 묵주 예배당에 ''부활''을 그렸고, 1611년에는 ''무고한 어린이 학살''을 그렸다. 1614년~1615년 라벤나 대성당 예배당을 위해 ''만나를 모으는 이스라엘 백성''을 그렸다.

1615년경 성 세바스찬을 창작했다.[12] 레니는 성 세바스찬을 총 여섯 번 그렸지만, 1615년 작품이 가장 유명하며, 오스카 와일드 등에게 찬사를 받았다.[13]

''성 요셉과 아기 예수'', 1640년


''요셉과 뽀티파르의 아내'', 1630년경


1618년 나폴리로 가서 산 젠나로 대성당 예배당 천장화를 의뢰받았으나,[14] 현지 화가들의 반대로 독살 위협을 받고 로마로 돌아갔다.

로마를 떠난 후 레니는 다양한 화풍으로 그림을 그렸다. ''''는 매너리즘 양식을, ''아탈란타와 히포메네스''[15]는 카라바조의 영향을 보여준다. ''무고한 어린이 학살''은 라파엘로를 연상시킨다.

1625년 폴란드 시기즘운트 2세 왕자가 볼로냐의 작업실을 방문하여 그림과 판화를 구입했다.[16] 1630년 페스트가 유행할 때, 성인 이냐시오 데 로욜라(Ignatius of Loyola)와 프란체스코 하비에르(Francis Xavier)의 이미지를 담은 ''팔리온 델 보토''를 그렸다.

''자화상'', 1635년경


1630년대 레니의 회화 스타일은 더 자유로워졌다. 도박으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어 작품을 서둘러 제작했다.[1] 말년에는 미완성 작품이 많다.

레니는 성경적이고 신화적인 주제를 주로 그렸으며, 초상화는 시스투스 5세와 스파다 추기경, 어머니와 자화상 등이 있다. "베아트리체 첸치"는 레니의 작품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1] 레니의 판화는 볼로냐파의 표준 기법이었다.[17]

1642년 볼로냐에서 사망한 레니는 산 도메니코 성당 묵주 예배당에 묻혔다. 화가 엘리사베타 시라니(Elisabetta Sirani)도 같은 무덤에 묻혔다.

2. 1. 로마에서의 활동 (1601-1614)

1601년이 저물어가던 시기에 레니와 알바니는 로마로 떠나 안니발레 카라치의 파네스 성(Farnese Palace)의 프레스코 장식 프로젝트에 참여했다.[52] 1601년에서 1604년까지 그의 대표적인 고객은 스폰드라토 추기경이었다. 1604년에서 1605년, 레니는 "십자가에 못 박힌 성 베드로"에 관한 세 폭 제단화를 의뢰받게 된다. 볼로냐에서 몇 년간을 머물다가 그는 로마로 돌아가며 교황 바오로 5세의 임기 기간 동안 첫째가는 화가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1607년에서 1614년까지 그는 House of Borghese에서 후원받는 화가들 중 한 사람이 되었다.

''디아니라 유괴''(디아니라는 헤라클레스의 아내였다), 1620-1621.


레니가 Palazzo Pallavicini-Rospigliosi에 위치한 "오로라 별장"이라는 성의 중앙 홀 천장에 그린 프레스코 작품은 오늘날 그의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별장은 본래 시피오네 보르게세 추기경을 위한 별관이었다.[53] 뒤쪽 부분은 Piazza Montecavallo와 Palazzo del Quirinale를 내려다보고 있는 형태이다.[54] 이 훌륭한 프레스코는 in quadri riportati 방식으로 테두리가 장식되었으며 태양의 신 아폴로와 그의 황금전차가 세상에 빛을 가져오는 새벽(오로라)을 따라가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55] 이 작품은 엄격한 고전주의적인 기법이 돋보이는데, 로마의 Sarcophagi에 등장한 포즈를 그대로 모사했다던가 파네스 성에 전시되어 있는 안니발레 카라치의 유쾌한 "바쿠스와 아리아드네의 승리"같은 작품보다 훨씬 더 간결함과 절제를 추구하는 것이 그 이유다.[56] 귀도 레니의 작풍을 따지자면 엄격함이 특징인 주세페 체사리(카발리에 알피노라고도 불림)나 지오바니 란프란코(Giovanni Lanfranco), 그리고 프란체스코 알바니(Francesco Albani)학교의 신화와 역사화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코에 대해서는 피에트로 다 코르토나(Pietro da Cortona)의 꽉 차 있는 구도 등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2. 2. 나폴리 체류와 볼로냐 귀환 (1614-1642)

1614년 이후 볼로냐로 거의 영구히 돌아온 레니는 그곳에서 성공적이고 다작의 화실을 설립했다.[1] 1613년에서 1615년 사이에 볼로냐의 산 도메니코 성당에 있는 성 도미니크 예배당의 돔을 장식하라는 의뢰를 받았고, 그 결과 빛나는 프레스코화 ''영광 속의 성 도미니크''가 탄생했다. 이 걸작은 그 아래에 있는 정교한 산 도메니코의 아르카와 견줄 만하다.

그는 같은 교회의 묵주 예배당 장식에도 ''부활''이라는 작품으로 기여했으며, 1611년에는 이미 산 도메니코 성당을 위해 뛰어난 ''무고한 어린이 학살''을 그렸는데, 이 작품은 프랑스 신고전주의 양식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피카소의 ''게르니카''의 세부 묘사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1614~15년에는 라벤나 대성당의 예배당을 위해 ''만나를 모으는 이스라엘 백성''을 그렸다.

1615년경 볼로냐에서 레니는 가장 많이 복제된 작품 중 하나인 성 세바스찬을 창작했다. 이 그림은 하늘의 파란색에 라피스라줄리가 사용되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교황청 관계자의 의뢰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12] 레니는 성 세바스찬을 총 여섯 번 그렸지만, 1615년 작품이 가장 인지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그림은 오스카 와일드와 역사를 통틀어 다른 게이 예술가들에게 찬사를 받았다.[13]

1618년 레니는 잠시 볼로냐를 떠나 나폴리로 가서 산 젠나로 대성당 예배당의 천장화를 그리는 의뢰를 완료했다.[14] 그러나 나폴리에서 코렌치오, 카라치올로, 리베라를 포함한 다른 저명한 현지 화가들은 경쟁자들에게 격렬하게 반대했고, 소문에 따르면 레니를 독살하거나 해치려는 음모를 꾸몄다. 레니의 조수는 심하게 부상을 입어 로마로 돌아갔다. 독살에 대한 큰 공포를 가지고 있던 레니는 더 이상 머무르지 않기로 했다.

로마를 떠난 후 레니는 번갈아 가며 다른 화풍으로 그림을 그렸지만, 카라치의 수많은 제자들보다 절충적인 취향을 덜 보였다. 예를 들어, ''''를 위한 제단화는 매너리즘의 특징적인 것과 같은 양식화된 포즈를 보여준다. 반대로 그의 ''십자가에 못 박힘''과 ''아탈란타와 히포메네스''[15]는 빛과 그림의 효과와 결합된 극적인 대각선 운동을 묘사하여 카라바조의 바로크 영향을 더욱 잘 드러낸다. 그의 격렬하면서도 사실적인 ''무고한 어린이 학살''(볼로냐 미술관 소장)은 후기 라파엘로를 연상시키는 방식으로 그려졌다.

1625년 폴란드의 시기즘운트 2세 왕자가 서유럽 방문 중 볼로냐에 있는 화가의 작업실을 방문했다.[16] 화가와 폴란드 왕자 사이의 긴밀한 관계는 그림과 판화의 구입으로 이어졌다.[16] 1630년 볼로냐가 페스트로 고통받고 있을 때, 레니는 성인 이냐시오 데 로욜라(Ignatius of Loyola)와 프란체스코 하비에르(Francis Xavier)의 이미지를 담은 ''팔리온 델 보토''를 그렸다.

1630년대가 되자 레니의 회화 스타일은 더 자유로워지고, 임파스토 기법이 줄어들었으며, 더 밝은 색상이 지배적이 되었다. 도박에 빠져 있던 레니는 그림에 대한 꾸준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종종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의 전기 작가인 칼로 체사레 말바시아(Carlo Cesare Malvasia)에 따르면, 레니는 도박으로 인한 손실을 만회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작품을 서둘러 제작하고 그의 화실에서 여러 점의 복제품을 제작했다.[1] 그의 말년의 그림에는 미완성 작품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레니의 주제는 대부분 성경적이고 신화적인 것이다. 그는 초상화를 거의 그리지 않았다. 시스투스 5세와 베르나르디노 스파다 추기경의 초상화가 가장 주목할 만하며, 그의 어머니(볼로냐 국립 미술관 소장)와 몇 점의 자화상(젊은 시절과 노년의 모습)도 있다.

레니의 작품으로 여겨졌고 여러 세대의 찬사를 받았던 소위 "베아트리체 첸치"는 현재 그의 작품이라는 주장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1] 베아트리체 첸치(Beatrice Cenci)는 레니가 로마에 살기 전에 로마에서 처형되었으므로 이 초상화의 모델이 될 수 없었다. 많은 판화가 귀도 레니의 작품으로 여겨지는데, 일부는 그의 그림을 바탕으로 하고 일부는 다른 거장들의 작품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11] 이들은 활기차고,[11] 섬세한 선과 점으로 된 가벼운 스타일이다. 볼로냐파가 사용한 레니의 기법은 당시 이탈리아 판화가들의 표준이었다.[17]

레니는 1642년 볼로냐에서 사망했다. 그는 산 도메니코 성당의 묵주 예배당에 묻혔다. 화가 엘리사베타 시라니(Elisabetta Sirani)(그의 아버지는 레니의 제자였고 일부 사람들은 그녀를 레니의 예술적 환생으로 여겼다)는 나중에 같은 무덤에 묻혔다.

3. 작품 세계

귀도 레니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무고한 자들의 학살(1611년)
    ''무고한 자들의 학살''
  • 골리앗의 목을 든 다윗(약 1605년, 캔버스에 유채)
    ''골리앗의 목을 든 다윗''
  • 갈라테이아와 아키스 (추정, 가치나 대궁전)
  • 자화상
  • 칼리스토와 디아나
  • 베드로 성인의 십자가형 (바티칸 박물관)
  •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산 로렌초 인 루치나)
  • 싸우는 큐피드 풋티 (도리아 팜필리 미술관)
  • 사계절 (카포디몬테 국립 박물관)
  • 성 삼위일체 (산티시마 트리니타 데이 펠레그리니)
  • 순결한 잉태 (산 비아조 교회, 포를리)
  • 무고한 자들의 학살 (피나코테카 나치오날레, 볼로냐)
  • 참회하는 마리아 막달레나 (약 1635년, 월터스 미술관)
  • 참회하는 베드로 (마비-게레르 미술관)
  • 그리스도의 시신을 애도함 (피나코테카 나치오날레, 볼로냐)
  • 인자한 그리스도 (젬알데갤러리 알테 마이스터, 드레스덴)
  • 인자한 그리스도 (1639년, 휘트윌리엄 미술관)
  • 베드로와 바울 성인 (브레라 미술관)
  • 성모 승천 (예수와 성 아브람브로지오와 안드레아 교회, 제노바)
  • 마리아의 승천 (산타 마리아 교구 교회, 카스텔프랑코 에밀리아)
  • 광야의 성 바울 수도사와 성 안토니우스 (젬알데갤러리, 베를린)
  • 포춘 (바티칸 박물관)
  • 당나귀 턱뼈에서 마시는 삼손 (피나코테카 나치오날레, 볼로냐)
  • 아리아드네 (카피톨리니 박물관)
  • 아탈란타와 히포메네스(1612년, 프라도 미술관)
  • 성 필립 네리의 황홀경 (1614년, 산타 마리아 인 발리첼라)
  • 아탈란타와 히포메네스(1622–25년, 카포디몬테 국립 박물관)
  • 묵주 성모 (산 루카의 성모 성역)
  • 헤라클레스의 노동 (루브르 박물관)
  • 루크레티아의 자살 (약 1625–40년, 상파울루 미술관)
  • 루크레티아와 클레오파트라 (카피톨리노 피나코테카)
  • 폴리페무스 (카피톨리노 피나코테카)
  • 안누치아타 예배당 (퀴리날레 궁전)
  • 성 세바스티안 (피나코테카 나치오날레, 볼로냐)
  • 성 세바스티안 (덜위치 픽처 갤러리, 첼튼엄 미술관, 팔라초 로쏘, 카피톨리니 박물관, 루브르 박물관, 미술사 박물관)
  • 광야의 세례자 요한 (덜위치 픽처 갤러리)
  • 동방 박사의 경배 (산 마르티노 세르토사)
  • 유딧 (버밍햄 미술관, 버밍햄, 앨라배마주)
  • 풋티의 싸움 (도리아 팜필리 갤러리)
  • 채찍질 (성 프란시스 사비에르 교회, 타오스)
  • 성 요한 복음사가 (무스카렐레 미술관)
  • 욥의 승리
  • 십자가를 지신 예수 그리스도 (산 페르난도 왕립 미술 아카데미)
  • 사울의 회심 (국가 유산)
  • 복음사가 (알바 가문의 저택, 리리아 궁전)
  • 세실리아 성녀 (1606년)
  • 세바스티아노 성인 (약 1615년)
  • 황홀경에 젖은 필리포 네리 성인 (1614년, 오라토리오 교회 키에사 누오바)
  • 산 도메니코의 아르카를 장식하는 ''산 도메니코의 영광'' (1613–1615년)
  • 히포메네스와 아탈란타 (1618–1619년, 프라도 미술관)
  • 다윗과 아비가일 (약 1615년)
  • 십자가를 안은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 (1621년)
  • 그리스도의 세례 (약 1622–1623년)
  • 십계명이 새겨진 돌판을 든 모세 (약 1624년, 보르게세 미술관)
  • 베드로 성인에게 열쇠를 주는 그리스도 (1626년, 루브르 박물관)
  • 유로파의 납치 (1630년대, 내셔널 갤러리)
  • 요셉과 보디발의 아내 (1631년)
  • 프란체스코 성인의 머리 (약 1632년 이전, 국립 미술관)
  • 마태오 성인과 천사 (약 1635–1640년)
  • 참회하는 마리아 막달레나 (약 1635년)
  • 야고보 사도 (약 1636–1638년)
  • 광야의 세례자 요한 (1636–1637년)
  • 루크레티아 (1640–1642년)
  • 바쿠스와 아리아드네 (약 1619–1620년,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 아우로라(1612-1614년) 파라비치니 궁전
  • 어린이 학살(1610년경) 볼로냐, 국립미술관
  • 골리앗의 목을 든 다윗(1605년경) 우피치 미술관
  • 베아트리체 첸치 초상화 로마, 바르베리니 국립 미술관
  • 히포메네스와 아탈란테(1612년경)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레니의 작풍에는 바로크 시대 거장 카라바조의 극적인 구도와 격렬한 명암 대비가 보이는 동시에 르네상스 시대 거장 라파엘로풍의 고전주의 양식도 보인다. 대표작 『아우로라』에 보이는, 치밀하게 계산된 구도, 이상화된 우아한 인물 표현, 온화한 색채 등은 레니 작풍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고전 연구의 성과가 엿보인다.

3. 1. 주요 작품

귀도 레니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11][47]

  • 무고한 자들의 학살(1611년) ()
  • 골리앗의 목을 든 다윗(약 1605년, 캔버스에 유채) ()
  • 갈라테이아와 아키스(추정, 가치나 대궁전)
  • 자화상
  • 칼리스토와 디아나
  • 베드로 성인의 십자가형 (바티칸 박물관)
  •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산 로렌초 인 루치나)
  • 싸우는 큐피드 풋티 (도리아 팜필리 미술관)
  • 사계절 (카포디몬테 국립 박물관)
  • 성 삼위일체 (산티시마 트리니타 데이 펠레그리니)
  • 순결한 잉태 (산 비아조 교회, 포를리)
  • 무고한 자들의 학살 (피나코테카 나치오날레, 볼로냐)
  • 참회하는 마리아 막달레나 (약 1635년, 월터스 미술관)[39]
  • 참회하는 베드로 (마비-게레르 미술관)
  • 그리스도의 시신을 애도함 (피나코테카 나치오날레, 볼로냐)
  • 인자한 그리스도 (젬알데갤러리 알테 마이스터, 드레스덴)
  • 인자한 그리스도 (1639년, 휘트윌리엄 미술관)[40]
  • 베드로와 바울 성인 (브레라 미술관)
  • 성모 승천 (예수와 성 아브람브로지오와 안드레아 교회, 제노바)
  • 마리아의 승천 (산타 마리아 교구 교회, 카스텔프랑코 에밀리아)
  • 광야의 성 바울 수도사와 성 안토니우스 (젬알데갤러리, 베를린)
  • 포춘 (바티칸 박물관)
  • 당나귀 턱뼈에서 마시는 삼손 (피나코테카 나치오날레, 볼로냐)
  • 아리아드네 (카피톨리니 박물관)
  • 아탈란타와 히포메네스(1612년, 프라도 미술관)[41]
  • 성 필립 네리의 황홀경 (1614년, 산타 마리아 인 발리첼라)[42]
  • 아탈란타와 히포메네스(1622–25년, 카포디몬테 국립 박물관)[15]
  • 묵주 성모 (산 루카의 성모 성역)
  • 헤라클레스의 노동 (루브르 박물관)
  • 루크레티아의 자살 (약 1625–40년, 상파울루 미술관)
  • 루크레티아와 클레오파트라 (카피톨리노 피나코테카)
  • 폴리페무스 (카피톨리노 피나코테카)
  • 안누치아타 예배당 (퀴리날레 궁전)
  • 성 세바스티안 (피나코테카 나치오날레, 볼로냐)
  • 성 세바스티안 (덜위치 픽처 갤러리, 첼튼엄 미술관, 팔라초 로쏘, 카피톨리니 박물관, 루브르 박물관, 미술사 박물관)
  • 광야의 세례자 요한 (덜위치 픽처 갤러리)
  • 동방 박사의 경배 (산 마르티노 세르토사)
  • 유딧 (버밍햄 미술관, 버밍햄, 앨라배마주)
  • 풋티의 싸움 (도리아 팜필리 갤러리)
  • 채찍질 (성 프란시스 사비에르 교회, 타오스)[43]
  • 성 요한 복음사가 (무스카렐레 미술관)
  • 욥의 승리 ()
  • 십자가를 지신 예수 그리스도 (산 페르난도 왕립 미술 아카데미)[44]
  • 사울의 회심 (국가 유산)[45]
  • 복음사가 (알바 가문의 저택, 리리아 궁전)[46]
  • 세실리아 성녀 (1606년) ()
  • 세바스티아노 성인 (약 1615년) ()
  • 황홀경에 젖은 필리포 네리 성인 (1614년, 오라토리오 교회 키에사 누오바) ()
  • 산 도메니코의 아르카를 장식하는 ''산 도메니코의 영광'' (1613–1615년) ()
  • 히포메네스와 아탈란타 (1618–1619년, 프라도 미술관) ()
  • 다윗과 아비가일 (약 1615년) ()
  • 십자가를 안은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 (1621년) ()
  • 그리스도의 세례 (약 1622–1623년) ()
  • 십계명이 새겨진 돌판을 든 모세 (약 1624년, 보르게세 미술관) ()
  • 베드로 성인에게 열쇠를 주는 그리스도 (1626년, 루브르 박물관) ()
  • 유로파의 납치 (1630년대, 내셔널 갤러리)[48] ([[File:Guido Reni 055.jpg|유로파의 납치])
  • 요셉과 보디발의 아내 (1631년) ()
  • 프란체스코 성인의 머리 (약 1632년 이전, 국립 미술관) ()
  • 마태오 성인과 천사 (약 1635–1640년) ()
  • 참회하는 마리아 막달레나 (약 1635년) ()
  • 야고보 사도 (약 1636–1638년) ()
  • 광야의 세례자 요한 (1636–1637년) ()
  • 루크레티아 (1640–1642년) ()
  • 바쿠스와 아리아드네 (약 1619–1620년,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
  • 아우로라(1612-1614년) 파라비치니 궁전
  • 어린이 학살(1610년경) 볼로냐, 국립미술관
  • 골리앗의 목을 든 다윗(1605년경) 우피치 미술관
  • 베아트리체 첸치 초상화 로마, 바르베리니 국립 미술관
  • 히포메네스와 아탈란테(1612년경)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4. 평가 및 영향

귀도 레니는 당대 가장 유명한 이탈리아 화가였다.[1] 그는 많은 제자들을 통해 후기 바로크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볼로냐 중심부에 그는 거의 200명에 달하는 제자들로 가득 찬 두 개의 화실을 운영했다. 그의 가장 뛰어난 제자는 시모네 칸타리니였으며, 그는 현재 볼로냐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스승의 초상화를 그렸다.[11]

레니의 제자들로는 안토니오 란다, 빈첸초 고티,[18] 에밀리오 사보난치,[19] 세바스티아노 브루네티,[20] 토마소 캄파나,[21] 도메니코 마리아 카누티,[22] 바르톨로메오 마레스코티,[23] 조반니 마리아 탐부리노,[24] 피에트로 갈리나리[25]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안토니오 지아롤라, 조반니 바티스타 미켈리니, 귀도 카냐치,[26] 조반니 불랑제,[27] 파올로 비안쿠치,[28] 피에트로 리치,[29] 피에트로 라우리 몬수,[30] 자코모 세멘차,[31] 조반니 스테파노 다네디,[32] 조반니 자코모 만노,[33] 카를로 치타디니,[34] 루이지 스카라무치아,[35] 베르나르도 체르바,[36] 프란체스코 콘스탄초 카타네오,[37] 줄리오 디나렐리, 프란체스코 게시, 마르코 반디넬리 등이 레니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이탈리아를 넘어 레니의 영향은 후세페 데 리베라와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와 같은 많은 스페인 바로크 화가들의 화풍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 그의 작품은 특히 프랑스에서 높이 평가되었는데, 스탕달은 레니가 "프랑스 영혼"을 지녔다고 믿었다.[1] 외스타슈 르 쉬르, 샤를르 르 브룅, 조제프 마리 비앵, 장-바티스트 그뢰즈와 같은 여러 세대의 프랑스 화가들과 후기 프랑스 신고전주의 화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1]

존 러스킨은 그의 작품이 감상적이고 허위라고 비판했다.[38] 1954년 볼로냐에서 그의 작품을 대대적으로 회고하는 전시회가 열린 이후 레니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38]

레니의 작풍에는 카라바조의 극적인 구도와 격렬한 명암 대비가 보이는 동시에 라파엘로풍의 고전주의 양식도 보인다. 대표작 『아우로라』에 보이는, 치밀하게 계산된 구도, 이상화된 우아한 인물 표현, 온화한 색채 등은 레니 작풍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고전 연구의 성과가 엿보인다. 레니는 생전부터 "라파엘로의 재림"이라고 불렸고, 괴테에 의해 "신과 같은 천재"라고 극찬받은 화가로, 19세기까지의 평가는 매우 높았지만, 미술에 대한 사람들의 취향이 변화하고 고전주의 회화의 인기가 하락한 20세기 이후는 부당하게 낮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아카데미즘 회화 재평가의 움직임과 함께 마침내 정당하게 평가받게 되고 있다.

5.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Reni, Guido Oxford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Guido Reni: A Review Reviewed The Burlington Magazine 1990
[3] 웹사이트 Guido Reni (The J. Paul Getty Museum Collection) https://www.getty.ed[...] 2023-03-26
[4] 웹사이트 Casino Aurora Pallavicini http://www.casinoaur[...]
[5] 웹사이트 Casino dell'Aurora Pallavicini. Conference center - Rome, Italy http://www.casinoaur[...] 2023-03-26
[6]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s://www.google.c[...] 2023-03-26
[7] 웹사이트 Aurora by RENI, Guido https://www.wga.hu/h[...] 2023-03-26
[8] 웹사이트 Image Files--Frescos http://depts.washing[...]
[9] 서적 Seventeenth-century Art and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Laurence King Publishing 2005
[10] 웹사이트 Legendary Rome - a demon with a pope's face http://roma.andreapo[...]
[11] 백과사전 Guido Reni Encyclopædia Britannica
[12] 웹사이트 San Sebastiano Museums in Genoa https://www.museidig[...] 2023-01-02
[13] 뉴스 How Did a Third-Century Catholic Saint Become a Gay Icon? Here's the Homoerotic History of Saint Sebastian https://news.artnet.[...] 2023-01-02
[14] 서적 Guido Reni, 1575-1642 Los Angeles & Bologna 1988
[15] 웹사이트 Atalanta and Hippomenes by RENI, Guido https://www.wga.hu/h[...] 2023-03-26
[16] 웹사이트 Kunstkammer of Władysław Vasa http://swiadectwotes[...] 2008-08-27
[17] 백과사전 printmaking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24-03-15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Dizionario degli architetti, scultori, pittori, intagliatori in rame ed in pietra, coniatori di medaglie, musaicisti, niellatori, intarsiatori d'ogni etá e d'ogni nazione (Volume 1) https://books.google[...] Vincenzo Ferrario, Milan 1818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뉴스 Renewed Luster for a Baroque Mast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9-03-20
[39] 웹사이트 The Penitent Magdalene https://art.thewalte[...]
[40] 웹사이트 Ecce Homo Northbrook Provenance Research https://northbrook.c[...] 2020-04-12
[41] 웹사이트 Hipómenes y Atalanta - Colección - Museo Nacional del Prado https://www.museodel[...] 2023-03-26
[42] 웹사이트 Category:St Filippo Neri in Ecstasy (Guido Reni) - 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wiki[...] 2019-05-19
[43] 웹사이트 sfxtaosmo https://www.sfxtaosm[...] 2017-12-19
[44] 웹사이트 Reni, Guido - Cristo resucitado abrazado a la Cruz https://www.academia[...] 2020-03-22
[45] 웹사이트 The Conversion of Saint Paul https://www.patrimon[...] 2020-04-05
[46] 웹사이트 An Evangelist https://www.fundacio[...] 2020-04-05
[47] 웹사이트 Reni, Guido - The Collection - Museo Nacional del Prado https://www.museodel[...] 2020-03-22
[48] 웹사이트 The Rape of Europa http://www.nationalg[...] 2008-08-27
[49] 웹사이트 Guido Reni Italian painter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4-11-04
[50] 논문 Guido Reni: A Review Reviewed 1990
[51] 웹사이트 Casino dell'Aurora Pallavicini. Conference center - Rome, Italy http://www.casinoaur[...]
[52] 논문 구이도 레니:리뷰를 리뷰하다 1990
[53] 웹사이트 오로라 별장 Pallavicini. Conference center - 로마, 이탈리아 http://www.casinoaur[...]
[54] 웹사이트 Google Maps http://maps.google.c[...]
[55] 웹사이트 귀도 레니의 오로라 http://www.wga.hu/ht[...]
[56] 웹사이트 이미지 파일-프레스코 http://depts.wa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